기하문은 점과 선을 구사하여 각종 문양을 형성하지만 단청에서는 각종 색선을 쓸 때가 많다. 선은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되지만 선이 구획하는 문양의 기본요소는 삼각형.사각형.원형이 주축을 이룬다.
원의 응용문
|

| |
원얼금 : 사슬모양으로 전후좌우로 원이 겨루어진 상태의 문양 원의 중심은 정사각형.정삼각형.정육각형으로 배치하여 원은 서로 엇겨루게함.(금문에 주로 사용)
|

| |
세모 . 육모무늬 : 정삼각형 6개가 한점에 모이면 정육각형이 되고 2개가 상하로 붙으면 마름모꼴이 된다
|

| |
네모 . 팔모무늬 :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모이면 격자문(格子紋) 또는 바둑판무늬가 되며 우물정자(井字)로 떨러져 있게 되면 정자문(井字紋) 또는 방틀무늬라 한다
|
|
|

|
| |
완자문 : 완자는 일만만자의 고자이며 중국음은 일만을 완이라 한다. 완자는 고래로 불가의 상징이다. 아자문 : 사각형내에 아자(亞字)형으로 된것.
|

| |
나선문 : 단청에서는 나선형의 문양을 곱팽이라하며 좌우로 배치하여 녹색도채하는 문양을 녹화라 한다.
|

|
| |
|
출처 : 전통건축과 단청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