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보면 일생일대 손해"..다시 보기 힘든 사상 최대 규모 '국보·보물전'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전 9월27일까지
20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 기자 설명회에서 정재숙 문화재청장과 배기동 관장이 '삼국사기'를 관람하고 있다.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이번 전시 안 보면 일생일대 손해입니다. (전시기간 중) 일부 전시물이 교체되니 (적어도) 2번은 꼭 봐야 하지 않나 싶네요."
20일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21일부터 9월27일까지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는 특별전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 개막을 하루 앞두고 이같이 말했다.
정 청장의 강력 추천한 이번 전시는 사상 최대 규모의 국보 보물이 공개되는 전시다.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지정된 국보·보물 157건 중 이동이 어려운 건축 문화재와 중량이 무거운 문화재 등을 제외한 83건 196점을 공개하는 자리로,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이 공동기획했다. 이번 전시를 위해 문화재를 대여한 기관만 총 34곳에 달한다.
전시는 역사를 지키다, 예술을 펼치다, 염원을 담다 등 3가지 주제로 구성됐다. 전시장에는 교과서에서나 볼 수 있던 문화재들이 곳곳에 전시돼있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바로 볼 수 있는 문화재는 '삼국사기'(국보 제322-1호, 옥산서원 소장)와 '삼국유사' 권1~2(국보 제306-3호, 연세대학교 소장),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472년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 국립고궁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등의 역사기록물이다.
조선시대 인쇄 문화의 발전을 보여주는 '송조표전총류' 권6~11(보물 제1989호, 개인 소장), 그림을 기록의 수단으로 적극 활용한 왕실 행사 기록화 '기사계첩'(국보 제325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사대부의 얼굴이 사실적으로 묘사된 '최석정 초상 및 함'(보물 제1936호,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등도 볼 수 있다.
이어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미의식이 담긴 예술품들이 전시된다. 고려 초기 청자 제작을 보여주는 '청자'순화4년'명 항아리'(국보 제326호, 이화여대 소장), 고려 상형청자 정수 '청자 투각 연당초문 붓꽂이'(보물 제1932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등을 볼 수 있다.
실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1676~1759)의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보물 제1951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조선시대 사람들의 일상을 담은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보물 제1987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도 만날 수 있다.
조선 사람들이 꿈꾸던 이상향 '이인문 필 강산무진도'(보물 제2029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학예일치 경지를 보여주는 김정희(1786~1856)의 '김정희 필 난맹첩'(보물 제1983호,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등도 소개된다.
20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새 보물 납시었네, 신국보보물전 2017-2019’ 기자 설명회에서 참석자들이 '평양 유람'를 관람하고 있다.
전시장에서 눈에 띄는 작품은 일제강점기 사재를 털어 우리 문화유산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1906~1962)의 유지를 지켜가고 있는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문화재들이다. 간송 소장품이 한 번에 다량으로 대여 전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간송 소장품은 3주 단위로 교체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신윤복 필 미인도'(보물 제1973호),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보물 제1970호) 등을 만나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시장에서 볼 수 있는 문화재는 우리나라 국보·보물의 절반이 넘는 불교문화재다. 전시장에는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인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제327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소장), 불교 경전을 인쇄하기 위해 새긴 '묘법연화경 목판'(보물 제1961호, 개심사 소장), '선림보훈'(보물 제700-2호, 충주박물관 소장)·'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3(보물 제875-3호, 달마사 소장) 등이 전시된다.
또한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 권상(국보 제320호, 개인 소장) 등 불교 경전과 서적들, '고려 천수관음보살도'(보물 제2015호, 개인 소장), '남양주 불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2003호, 불암사 소장) 등 불화와 불상 등이 전시된다. 이를 위해 대한불교조계종 산하 9개 사찰이 도움을 줬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우리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전시"라며 "국민들이 우리 문화재의 가치를 절실히 인지하고, 코로나19로 위축된 국민감정을 위로할 수 있는 전시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문화유산e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광화문 광장' (0) | 2020.07.22 |
---|---|
(펌)서울문화유산-인왕산주변 (0) | 2020.07.21 |
(펌)돌하르방 (0) | 2020.07.12 |
고려 나전칠기 (0) | 2020.07.02 |
보물 지정 (0) | 2020.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