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스크랩] 아리랑, 해학과 풍자의 매력

깜보입니다 2012. 7. 25. 09:51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아리랑


 

아리랑은 한국인의 마음이 담긴 소리이다. 아리랑은 우리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언제나 함께한 노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영화 「아리랑」과 주제가인 아리랑이 나라 잃은 시름을 달래주었으며, 저항의 노래가 되기도 했다. 6·25전쟁 때에는 포연 속 고단한 마음을 달래는 유행가가 되어 참전 용사들의 입에서 입으로 퍼져가기도 했다. 그 후에도 아리랑은 근대화의 빛과 그림자를 아우르는 노래로,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 등 국제 경기대회에서는 이념의 벽을 넘어 남북단일팀 단가와 응원가가 되기도 했다. 2002년 한일월드컵이 열릴 때에는 지구촌 사람들에게 응원가를 넘어 신바람이 어우러진 당당한 외침이 되기도 했다. 아리랑은 고향의 노래, 민족의 노래로 가슴속에 뜨겁게 살아있다. 음악적으로 보면 지역에 따라 선율의 차이가 있고 노랫말도 다르지만 한결같이 심금을 파고드는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 흔히 아리랑을 한恨의 노래라고 여기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자면 아리랑은 한과 신바람을 두루 넘나드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허기지고 서글프고 속상할 때 부르면 아리랑은 한의 소리가 되지만, 배부르고 기쁠 때 부르면 신바람의 소리가 된다. 지난한 역사 속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불러온 아리랑은 한탄, 원망, 회한을 담은 한의 소리였지만 애이불비로 삭였고, 원한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체념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거나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의지가 신바람으로 나타나 한을 풀어냈다. 체념과 좌절에서 일탈로 이어지는 과정을 한풀이라고 한다면 그 정점에는 아리랑고개가 있다.

아리랑고개는 인생의 분수령


 

‘아리랑고개’는 슬픔과 기쁨을 이어주는 고개다. “아리랑고개로 넘어간다”라는 능동형이 있는가 하면, “아리랑고개로 나를 넘겨주게”라는 수동형도 있다. 고개 너머는 알 수 없는 곳이기에 언제나 두려움과 기대감이 교차하는 곳이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고개를 이야기 할 때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는 뜻인 아홉수를 써 아홉 굽이, 아흔아홉 굽이, 열두 고개라는 상징적인 수가 따른다.


 

아리랑고개는 열두나 고갠데
넘어 갈 적 넘어 올 적 눈물이 나네


 


우리 조상들은 고개를 오르내리는 것을 인생에 비유했다. 아리랑고개를 열두 고개로 표현하는 것도 시련과 고난의 연속인 삶을 표현한 것이다. 12수는 12지十二支와 일 년 열두 달을 상징하는 수로, 우리 민족이 저승에 이르기 위해 지나야 하는 열두 대문을 상징하기도 한다. 열두 대문은 지날 때마다 갖가지 시련이 있으며, 통과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여겼다.


 

괴나리 봇짐을 짊어지고서
아리랑고개를 넘어간다(월강곡)


 


아리랑고개는 괴나리봇짐을 짊어지고 넘던 고개였고, 눈물을 뿌리며 넘던 고개이기도 했다. 간난신고艱難辛苦를 벗어나기 위해 괴나리봇짐을 진 신세가 원망스러워도 넘어야 한다는 간절한 소망과 의지가 담겨 있다. 아리랑고개는 실존의 고개가 아니다. 버거운 삶의 여정에서 맞닥뜨리는 상징적인 고개로 모든 이들의 가슴속에 존재한다. 아리랑고개는 슬픔에서 기쁨으로, 좌절에서 극복으로, 어둠에서 밝음으로 넘어가는 인생의 분수령이라고 할 수 있다.

해학과 신명으로 풀어내는 아리랑


 

아리랑고개를 넘는 일은 이전의 한을 넘어서는 과정이다. 은근과 끈기로 현실을 극복하거나, 아니면 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한풀이이다. 아리랑에 나타나는 한풀이는 오랫동안 터득한 삶의 지혜를 바탕으로 한 흥겨운 가락, 신명과 해학을 통해 나타난다. 삶에서 겪는 어려움을 신명으로 푸는 흥겨운 가락을 얘기하자면 국내에 존재하는 백여 종의 아리랑 가운데 밀양아리랑이 단연 돋보인다.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로 시작되는 후렴부는 신바람이 최고조에 달한다. 밀양아리랑은 우리나라에서는 물론이려니와 일본, 중국, 러시아에서도 널리 불리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잔칫집이나 공연장 등 흥겨움이 있는 곳이라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불리는가 하면, SP음반에서부터 MP3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통해 귀에 익은 소리가 되었다. 북한의 교과서에서도, 재일동포의 연주와 노래에서도, 중국과 러시아의 노래책에서도 밀양아리랑은 빠지지 않는다. 경쾌하고 흥겨운 아리랑은 집단 갑갑증을 해소하는 데도 그만이었다.


 

아리랑에는 삶의 어려움과 이를 야기한 사회적 모순에 대한 저항, 지배층의 횡포와 신분적 불평등에 대한 비판, 가부장적 남성의 권위와 위선에 대한 고발이 풍자와 해학을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 진도아리랑은 아낙네들이 자신의 처지나 한탄을 주절주절 읊는 데서 비롯된 그 걸쭉한 입담이 재미나다.


 

씨엄씨 죽으라고 고사를 지낸께
친정엄마 죽었다고 기별이 왔네


 

힘겨운 시집살이에 대한 일종의 푸념과도 같은 이 노래는 풍자와 역설이 미묘하게 어우러져 멋과 흥을 더해준다. 삶에서 겪는 어려움을 체념을 통해 건강한 웃음으로 극복해보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걸쭉한 입담을 좋아하는 이들은 아리랑을 마냥 두루뭉술하게 놔두지 않았다. 남녀 간의 뜨거운 사랑을 투박하게, 때로는 그럴듯한 비유에 살짝 감춰 담아내는 등 ‘해학의 멋’도 빼놓지 않았다.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삶의 정서가 짙게 배어 있는 정선아리랑을 보자. 정선아리랑은 한이 맺혀 애잔하고 서러운 처지를 표현한 노래로 알고 있지만, 그보다는 두메산골 정선 사람들의 하루하루 고달픈 삶을 풀어낸 소리다. 첩첩 산골에 묻혀 사는 삶의 고단함, 남녀 간의 사랑과 그리움, 남편에 대한 원망, 시집살이의 서러움, 고부간의 갈등 등 희로애락을 풍자와 해학으로 달래는 소리였다.


 

남으집 하이칼라는 다꾸시를 타는데
우리집의 멍텅구리는 똥구르마만 끄네
정선읍내 물레방아 물살을 안고 도는데
우리집의 서방님은 나를 안고 돌 줄 모르나


 

하이칼라와 비교해 남편의 무능함을 풍부한 해학으로 보여 주고 있다. 경제적으로 무능한 남편을 ‘똥구르마를 끄는 멍텅구리’에 빗대는가 하면 성적으로 제구실을 못하는 남편을 물레방아에 빗대어 능청스러우리만큼 조롱하고 있다. 하지만 악에 받쳐 어금니를 앙다물고 남편을 욕되게 하는 모습은 아니다. 자신의 처지나 신세를 주절주절 한탄하면서도 그 걸쭉한 입담으로 가슴속에 맺힌 응어리를 쌓아두지 않고 풀어내는 소리였다.


 


희망을 노래하는 아리랑


 

아리랑을 부르는 사람들에게 문법이나 규율은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삶을 짓누르는 관념적 도덕의 잣대를 박차고 일어나 슬픔과 기쁨을 자유롭게 넘나들 뿐이었다. 애절하면서도 해학적인 노랫말은 슬퍼도 비탄에 빠지지 않고 분노를 원한으로 갈무리하지도 않았다. 아리랑에서 한과 신명의 미학을 엿볼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아리랑이 지닌 매력은 바로 울리기도 하고 웃기기도 하는 해학과 신명을 통해 올올이 맺힌 응어리를 풀어가는 것이다. 아리랑 가사 속에는 이처럼 오랜 세월을 거쳐 오면서 각인된 풍자와 해학, 역설이 미묘하게 어우러져 있다. 한과 신바람을 동시에 포용하는 아리랑의 정서는 단순한 민요를 넘어 문학과 역사까지도 담아내어 아리랑의 전승 기반을 넓혀왔다.


 

오늘날 아리랑이 한국인을 표상하는 대표적인 노래가 된 것도 누구나 자연스럽게 부를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무엇이든지 거리낌 없이 표출하면서 삶의 가치를 구했기 때문이다. 아리랑은 오늘도 한국인의 마음을 담아 희망을 노래하고 있다. 잔잔하지만 우리 가슴속에 살아 큰 흐름을 이루고 있다.


 

글·사진·진용선 정선아리랑연구소장 사진·연합콘텐츠

출처 : 사단법인 한국의 재발견
글쓴이 : 한국의재발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