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

[스크랩] 종묘의 잡상들

깜보입니다 2013. 3. 31. 13:08

중국의 잡상은 10세기 전후인 송(宋)대에 출현하여 도교(道敎)에 관련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고려시대에 전래된 것으로 보이는 잡상은 조선시대인 17세기부터 소설 ‘서유기’에 의해 일부가 변하게 되었다. 재료는 진흙으로 만든 와제(瓦製)의 일종이다.

잡상은 장식 효과와 상징적 의미로서 화재를 예방하고 사악(邪惡)한 기운을 물리쳐 주는 벽사(辟邪)의 의미를 지니고 건물의 귀마루(추녀마루)에 설치하는데 모두 하늘을 향하여 쳐다 보면서 오는 잡귀를 못 오도록 지키고 있고, 개수는 최하 3개로 하며 양수(陽數)인 홀수로 배치되어 있다.

 

종묘내의 건축물 중 잡상이 있는 곳은 외대문과 정전, 영녕전 3곳이다

외대문에는 5개씩 左右 전후면(前後面)으로 4곳에 배열되어 20개이고,

정전에는 7개씩 左右에만 있고 후면(後面)에는 없어 14개이고,

영녕전에는 4개씩 정전과 협실에 각각 左右 전후에 다 있어 32개이다.

 

정전의 左右 後面에 없는 것은 무슨 이유이거나, 언제인가 복원(復原)시 의도적으로 생략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後面 左측은 광해군때(1608) 개축하면서 지은 부분이고

後面 右측 끝쪽은 2번의 증축으로 헌종때(1836)인데

後面 양쪽 공히 없는 것으로 보아 그렇게 추정해 보는데 언제인가 이유를 찾아야 할 것이다.

 

영녕전의 잡상의 숫자는 4개인데 일반적으로 홀수임으로 의문이 간다.

그러나 덕수궁의 대한문(大韓門) 8개, 중화전(中和殿)의 10개로 짝수가 있기도 하며 중국에서는 짝수가 많이 보인다.

영녕전은 [영녕전개수도감의궤(永寧殿改修都監儀軌)]에 따르면 현종때(1667)전채 건물을 개축하였다고 하는데 이유는 기록이 없으나 지반침하로 인한 건물 붕괴 위험이 있어 시행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때에 숫자의 변화가 생기지 않았나 추정된다.

또한 정전과 협실의 각각 추녀마루에 있는 것은 두 건물이 격이 다르고 외관상 건물 높이,건물 내부에도 벽으로 구분되어 있기에 별개의 건물로 보기 때문일 것이다.

 

설치된 잡상의 모양도 건물에 따라 다른데

예를 들어 대당사부(삼장법사)를 건물별로 비교하면

1)앉아 있는 팔의 모습이 내리거나 벌리기도 하고

2)몸이 뚱뚱하거나 홀쭉한 형태이며

3)몸을 숙이거나 제치기도하며

이렇게 모양이 다른것은 표준이라고 생각되는 상와도(像瓦圖)에 그려져 있었으나 장인들의 솜씨에 따라 차이가 나게 될 것이며 잡상은 상징적인 형상이기 때문에 정형을 구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中國과 比較

1. 수량에서 한국은 10개이나 중국은 11개이다.

2. 잡상의 종류가 다르다

   우리는 대당사부, 손행자, 저팔계, 사화상 등 주로 <서유기>등장 인물의 명칭이 나오나

  중국은 봉왕을 탄 선인이 맨 앞에 나오며 종류나 배치가 다르다.

3. 성격의 차이가 있다.

  우리는 소설 <서유기>의 성격이 내용만으로 볼 때 불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잡상 의 성격도 불교적이라 볼 수 있지만,

  중국은 봉황을 탄 선인이 앞장 서 있고 다음에 길상동물이고 마지막에 행십[날개달린 원 숭이 형상]이 배치되어 있어 도교적

  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4. 설치된 전각의 차이.

  우리는 궁궐의 전각과 도성의 성문, 왕릉, 원묘의 정자각, 종묘, 성균관, 동묘 등으로 그 사용이 한정적이나,

  중국은 사찰과 민가에도 설치되어 있다.

             中國                                      韓國

      준수(蹲獸)or문수(吻獸)               잡상(雜像)

1 기봉선인 騎鳳仙人                       대당사부 大唐師父 玄奘法師

2 용 龍                                         손행자 孫行者 孫悟空

3 봉황 鳳凰                                   저팔계 豬八戒 돼지

4 사자 獅子                                   사화상 獅畵像: 沙悟淨

5 천마 天馬                                   이귀박 二鬼朴

6 해마 海馬                                   이구룡 二口龍

7 산예 狻猊                                   마화상 馬畵像

8 압어 押魚                                   삼살보살 三殺菩薩

9 해치 澥豸                                   천산갑 穿山甲

10 두우 斗牛                                  나토두 羅土頭

11 행십 行什 --

 

종묘 잡상들의 모습은 아래와 같다

 

                                          정전  앞 우측

 

                                                정전 앞 좌측

 

                                        영녕전 정전 앞 우측

 

                                   영녕전 정전 앞 좌측

 

                                         외대문 앞 우측

 

                                          상와도

 

                                        중국의 선인

 

                                                    정전 앞 우측 잡상 7개

                                                정전 앞 좌측 잡상 7개

 

                                                 영녕전 정전 앞 우측 잡상 4개

 

                                                     영녕전 정전 앞 좌측 잡상 4개

 

                                            영녕전 협실 뒷쪽 좌측 잡상 4개

 

                                       외대문 앞 우측 잡상 5개

 

 

 

 

 

 

 

 

 

 

 

 

출처 : 종묘를 사랑하는 사람들
글쓴이 : 최준식 원글보기
메모 :